본문 바로가기

기준금리

(2)
경기정책 경기가 침체되거나 활성화되면 중앙은행과 정부가 경기조절 정책을 시행한다. 경기조절 정책은 나라 전체의 총공급과 총수요를 관리하고 조절하는 것이다. 총공급은 국내에 공급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이다. 국내총생산, GDP이다. 외국에서 수입한 것도 포함된다. 총수요는 나라 전체의 수요이다. 가계 소비, 기업 투자와 지출, 정부 지출, 순 수출 이 있다. 총공급과 총수요가 맞나는 지점에서 물가가 형성된다. 총공급은 정부가 나서서 통제하기에는 쉽지 않다. 총수요는 정부나 중앙은행이 상대적으로 조절하기 쉽다. 경기조절 정책을 총수요관리정책이라고 한다. 중앙은행은 금융정책(통화정책, 화폐정책)을 하고 정부는 재정정책을 통해 경기조절을 한다. 한국은행의 금융정책에는 4가지가 있다. 금리, 지급준비율, 공개시장 돈 활성..
기준금리는 무엇인가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시장에 유통되는 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지정하는 금리이다. 기준금리는 각국의 대표 금리라고도 볼 수 있다. 기준금리 인상, 하락에 따라 그 아래 영향을 받는 금리들(예금, 대출, cp, cd, 콜 등)은 기준금리의 흐름과 같이 간다. 시장의 금리는 돈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영향을 받지만 사실상 기준금리의 방향에 따라 금리의 하락, 상승이 결정된다. 한국은행은 금리 변화에 대해 신중하다. 한 나라의 금리가 이 기준금리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회의를 통해 결정한다.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에 이렇게 신중한 것은 1bp 금리 0.01%도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가계에 부채가 1000조라고 하면 금리 1% 포인트 내리면 10조 원에 대한 이자가 줄어드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