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점상, 복덕방, 슈퍼도 시장이다. 외환을 거래하는 증권거래소나 법률사무소, 은행도 시장이다. 재화나 서비스가 수요과 공급의 법칙에 의해 거래되고 가격이 형성되는 곳이 시장인 것이다.
카페를 운영하는 A를 보며 독점적 경쟁시장의 개념을 이해해보자. A는 카페를 운영 중이다. 동네 상권의 단골 관리를 잘해 입소문이 퍼져 매출이 상승세이다. A 카페가 매출이 잘 나온다는 것을 안 B는 인접 상권에 저가 커피집을 오픈한다. 이처럼 독점적 경쟁시장은 누구나 시장에 쉽게 참여할 수 있고 시장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자 A는 저가 커피에 대응하기 위해 배달 서비스를 도입한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독점적 성격을 유지하려면 큰 노력이 필요하기에 치열한 서비스 경쟁을 해야 한다. 가격을 올리면 고객 이탈이 심화되어 가격을 마음대로 올릴 수 없으며 누구도 확실한 지배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경쟁을 하는 시장의 범위가 작고 소비를 하는 집단 안에서 독점의 효과를 내는 시장이다. 특정 시장 안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리지만 경쟁이 자유로운 시장이다. 카페, 치킨집, 피자집 등이 있다.
완전경쟁시장은 경쟁자가 무수히 많다. 그리고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제품과 서비스의 질이 균일해 모든 정보가 개방되어 있다. 균일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원이 가장 효율적으로 분배되는 시장이다. 하지만 현실에서 완전경쟁시장을 찾기란 어렵다. 이상적인 시장 모델이다. 현실에서 이와 가장 비슷한 시장은 외화시장이다.
외환시장은 국가, 기업, 개인까지 수요ㅈ가 많다. 그리고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제품의 질이 균일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모든 정보가 개방되어 있어 이것을 판단하는 수요자의 몫이 중요하다. 그러나 외환시장도 중앙은행, 조지 소로스 같은 분이 환율을 통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완전경쟁시장이라 보기에는 제한이 있다.
과점은 2개 이상 소수 기업이 시장의 소비자들이 원하는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현대기아차, 르노삼성 등 자동차 시장, LG.KT 등 이동통신시장, 현대오일뱅크 등의 정유시장이 과점시장이다. 과점시장은 진입장벽이 높고 한 기업이 가격을 올리면 다른 기업의 제품을 선택하는 성향이 강해 가격경쟁이 치열하다.
가격담합은 과점기업들이 가격에 대한 통제를 하기 위해 서로 협의하고 가격을 조정하는 것이다. 부당한 이익을 챙기기 위해 서로 생산량을 조절한다.
독점시장은 한 기업이 소비자들의 수요를 모두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시장점유율이 50%가 넘으면 독점시장으로 간주한다. 코레일, KT&G, 한국전력공사 등이 독점기업이다. 경쟁사, 대체제가 없는 시장이다. 정부는 중공업 산업 정책을 활성화하기 위해 포스코를 제철소로 유일하게 허가해 정책적으로 지원했다.
'최경제_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고가격, 최저가격 (0) | 2019.07.20 |
---|---|
시장 실패 (0) | 2019.07.20 |
다양한 가격차별화 (0) | 2019.07.18 |
규모의 경제 (0) | 2019.07.18 |
수요, 공급의 법칙 (0) | 2019.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