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잠재성장률 잠재성장률은 한 나라의 노동, 자본, 토지 등 생산요소를 모두 사용해 물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최대로 달성할 수 있는 성장률을 말한다. 한 나라의 경제성장률을 평가할 때는 잠재성장률과 비교해야 된다.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은 자본, 노동, 토지를 최대한 투입해 잠재성장률이 낮다. 중국과 같은 신흥국은 인구도 많고 개발할 땅도 넓어 잠재성장률이 높다.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보다 낮으면 잠재성장률만큼 성장하지 못하는 것이다. 07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0% 대였다. 이는 잠재성장률보다 낮은 것으로 실제로 마이너스 성장인 것이다.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과 비슷하거나 높으면 경제가 나쁘지 않은 것이다. 잠재성장률보다 현저히 높으면 경제가 지나치게 과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은행은 잠재성장률을 .. 지표, 지수 지표는 경제활동의 결과를 통계 숫자 그대로 발표하는 것이다. GDP가 예이다. 지수는 기준과 비교해 나온 숫자이다. 예로 코스피 지수가 있다. 코스피 지수는 1980년 1월 4일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정하고 비교해 나타낸 지수이다. 경제지표는 이러한 지표와 지수를 다 포함하는 것이다. 경제지표는 지금의 수치만 봐서는 좋아지는지 확인이 어렵다. 그래서 전월대비, 전기대비 등 비교를 한다. 전년동월 대비는 2019년8월과 2018년 8월을 비교. 전년동기 대비는 2019년 3분기와 2018년 3분기를 비교한 것이다. 명목은 지금 현재 가격을 나타낸 수치다. A의 연봉이 3% 올랐다면 명목임금 상승률은 3%이다. 실질은 명목에 물가상승분만큼을 빼준 것이다. 작년 물가가 4% 올랐다면 A의 실질 임금은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