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효과
- 밴드왜건 효과: 유행에 따라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현상으로 편승 효과라고 한다.
- 스놉 효과: 한 상품의 소비가 증가할수록 수요가 줄어드는 현상. 고상한 체하는 속물
- 네트워크효과: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가 다른 사람들의 수요에 영향을 받는다.
- 베블런 효과: 소비재의 가격이 상승하는데도 오히려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 사회적 지위나 부를 과시하기 위한 허영심에 의해 수요가 발생
- 과시효과: 사회적 심리적인 영향을 받아 타인의 소비행동을 모방하여 내 소득 수준보다 높은 가격의 제품을 구입. 전시효과, '시위 효과'
- 의존효과: 광고, 선전 등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자극하면 소비가 늘어난다는 것.
- 투기효과: 앞으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될 때 투기이익을 얻고자 수요가 늘어나는 것.
- 언더독 효과: 게임이나 시합에서 약자에게 연민을 느껴 이기기를 바라는 효과
수요법칙
수요는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하려는 욕구이다.
- 대체재: 어떤 재화와 유용성이 비슷해서 대체해서 쓸 수 있는 재화. ex) 소고기 대신 돼지고기나 닭고기
- 보완재: 서로 보완관계여서 한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면 다른 재화의 수요도 덩달아 증가한다. ex) 커피와 설탕
- 기펜재: 가격이 내리는데도 가치가 훨씬 떨어져 수요가 줄어드는 재화. ex) 고무신, 연탄
- 위풍재: 가격이 계속 오르는데도 수요가 줄지 않고 오히려 늘어나는 재화 ex) 강남 아파트, 고급 주택지
- 정상재: 실질소득이 늘어나면 수요가 늘어나는 재화 ex) 와인
- 열등재: 실질소득이 늘어나면 오히려 수요가 감소 ex) 소주
cf. 젠트리피케이션: 낙후되었던 구도심이 개발되면서 중산층이 대거 옮겨옴에 따라 기존 저소득층 원주민이 쫓겨나는 현상.
'최경제_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급의 가격 탄력성 (0) | 2019.07.16 |
---|---|
수요 가격 탄력성 (0) | 2019.07.15 |
공급, 공급법칙의 예외 (0) | 2019.07.13 |
경제객체(재화와 서비스), 경제주체(가계,기업,정부,국외) (0) | 2019.07.09 |
경제학을 한 줄로 줄여볼까요! (0) | 2019.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