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제심리지수 경제심리지수는 경기를 생각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조사해 지수화한 것입니다. 그 유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기업경기실사지수. 경기에 대해 경영자들의 심리를 보여주는 지수이다. 한국은행은 기업의 실적, 계획, 경기전망 등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BSI지수라고 한다. 기업경기실사지수가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경영자가 많다는 것이다. 100미만이면 경기악화 가능성이 크다. 경영자들은 경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경기의 흐름을 예측할 때 유용한 지표가 된다. 경기호전을 예상하는 경영자들이 많으면 투자와 고용이 늘어난다. 과거를 보면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와 제조업 GDP와의 관계가 밀접했다. 둘째로 소비자심리지수가 있다. 한국은행은 분기마다 소비자동향을 조사한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동향.. 잠재성장률 잠재성장률은 한 나라의 노동, 자본, 토지 등 생산요소를 모두 사용해 물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최대로 달성할 수 있는 성장률을 말한다. 한 나라의 경제성장률을 평가할 때는 잠재성장률과 비교해야 된다.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은 자본, 노동, 토지를 최대한 투입해 잠재성장률이 낮다. 중국과 같은 신흥국은 인구도 많고 개발할 땅도 넓어 잠재성장률이 높다.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보다 낮으면 잠재성장률만큼 성장하지 못하는 것이다. 07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0% 대였다. 이는 잠재성장률보다 낮은 것으로 실제로 마이너스 성장인 것이다.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과 비슷하거나 높으면 경제가 나쁘지 않은 것이다. 잠재성장률보다 현저히 높으면 경제가 지나치게 과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은행은 잠재성장률을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