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제_Economy (51)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비효과 및 수요법칙 소비효과 - 밴드왜건 효과: 유행에 따라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현상으로 편승 효과라고 한다. - 스놉 효과: 한 상품의 소비가 증가할수록 수요가 줄어드는 현상. 고상한 체하는 속물 - 네트워크효과: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가 다른 사람들의 수요에 영향을 받는다. - 베블런 효과: 소비재의 가격이 상승하는데도 오히려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 사회적 지위나 부를 과시하기 위한 허영심에 의해 수요가 발생 - 과시효과: 사회적 심리적인 영향을 받아 타인의 소비행동을 모방하여 내 소득 수준보다 높은 가격의 제품을 구입. 전시효과, '시위 효과' - 의존효과: 광고, 선전 등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자극하면 소비가 늘어난다는 것. - 투기효과: 앞으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될 때 투기이익을 얻고자 수요가 늘어나는 것. -.. 경제객체(재화와 서비스), 경제주체(가계,기업,정부,국외) 경제객체는 경제활동을 하는 대상을 말한다. 경제활동을 하는 이유는 재화와 서비스를 얻기 위해서이다. 재화는 인간에게 유용함을 주는 물리적인 것이다. 버스나 스탠드 그리고 전기와 같이 눈으로 볼 수 없는 것도 해당된다. 여기서 실제 경제활동을 하는 이유는 유용함과 희소성을 가지고 있는 경제재다. 공기는 유용하지만 희소성이 없는데 이를 자유재라고 한다. 서비스는 형체가 없다. 하지만 가치가 있어서 돈을 지불하는 것이다. 경제주체는 이러한 경제객체를 얻기 위해 경제활동을 하는 개인 또는 집단이다. 재화 똔느 서비스를 생산하고 소비 그리고 분배하는 활동이다. 경제주체는 총 3개로 나뉘어진다. 가계/기업/정부 가계는 일반가정이다. 생산활동에 참여를 해서 소득얼 얻고 그것을 통해 소비를 한다. 기업에 3가지 생산요.. 경제학을 한 줄로 줄여볼까요! 경제학을 돈을 많이 버는 방법으로 사람들이 오해한다. 하지만 선택을 어떻게 하느냐의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경제학이다. 생각을 확장시켜 합리적인 결정을 도와주는 것이다. 개인은 일상 생활을 하며 수많은 고민을 한다. 빌라를 살까, 1년 더 전세를 살까, 기업은 해외에 진출을 할까, 시설을 확충시킬까. 우리가 누리는 자원의 희소성때문에 결정을 해야되는 것이다. 시간과 돈은 한정되어있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를 선택해 포기하는 가치 중 가장 큰 것이 기회비용이다. 기회비용보다 편익이 더 크면 합리적인 선택. 기회비용이 더 크면 그렇지 못한 선택이다. 연봉 5천만원 받는 회사원이 회사를 그만두고 1억 5천만원의 베어커리 스토어를 차렸다고 해보자. 1년간 매출액은 1억 2천만원. 첫 해 3천만원의 적자가 생겼다. .. 이전 1 ··· 4 5 6 7 다음